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급 100만원대, 어떻게 써야 할까? 저소득일수록 지켜야 할 소비관리 전략

반응형

월급 100만원대, 어떻게 써야 할까? 저소득일수록 지켜야 할 소비관리 전략
월급 100만원대, 어떻게 써야 할까? 저소득일수록 지켜야 할 소비관리 전략

1. 100만 원대 월급도 지킬 수 있다

 

 

적게 버는 사람일수록 더 똑똑하게 써야 한다

 

대학생 A씨는 편의점 알바로 월 120만 원을 번다.

하지만 한 달이 끝나기 전에 잔고는 거의 바닥을 친다.

매달 똑같은 고민을 하며 ‘돈이 더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수입은 쉽게 오르지 않는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것이 있다.

“월급이 적어서 어쩔 수 없다”라고 생각하고 계획을 포기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돈이 적을수록 더 철저한 계획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적은 돈이 너무 쉽게 증발해 버리기 때문이다.

 

 

2. 소득에 맞춘 소비 원칙

 

 

100만원대라면 어떻게 나눠 써야 할까?

 

많은 재무설계사들은 소득의 크기에 따라 소비 비율이 달라야 한다고 말한다.

100만 원대라면 ‘50:30:20’의 비율이 기본으로 제안되곤 한다.

 

  • 50% 생존비용 (식비, 교통비, 휴대폰 등)
  • 30% 개인소비 (취미, 외식, 인간관계)
  • 20% 저축 또는 비상금

 

하지만 이 공식도 현실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월급 규모별 현실적 분배 전략을 참고해보면 좋다.

 

 

월급 110만 원

 

  • 고정비 (휴대폰, 교통 등): 25만 원
  • 식비: 30만 원
  • 생활잡비(소모품, 의류 등): 15만 원
  • 인간관계/기타: 10만 원
  • 저축: 10만 원
  • 비상금/예비비: 10만 원
  • → 포인트: 고정비를 최대한 줄이고, 식비는 자취 대신 공동생활이나 주말가족 동거 형태로 절약

 

 

월급 130만 원

 

  • 고정비: 30만 원
  • 식비: 30만 원
  • 생활잡비: 20만 원
  • 여가/인간관계: 20만 원
  • 저축: 15만 원
  • 비상금: 15만 원
  • → 포인트: 식비와 여가에서 소비를 의식적으로 제한하면 저축이 가능해진다

 

 

3.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절약 팁

 

 

1) 식비보다 ‘간식비’가 더 많다

 

많은 사람들은 식비는 계획하지만, 간식이나 커피는 무의식적으로 쓴다.

특히 하루 커피 4천 원만 한 달 20번 마시면 8만 원이다.

그 돈이면 장을 봐서 한 주를 버틸 수 있다.

 

 

2) 통신비는 실적 없는 가족결합으로 줄인다

 

100만 원대 소득자에게 7만 원 통신비는 부담이다.

알뜰폰, 결합 할인, 자급제 등으로 2만 원대로 낮출 수 있다.

이것만으로도 1년 60만 원 이상을 아낄 수 있다.

 

 

3) 무통장 가계부 시스템 만들기

 

“이 돈은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아니야.”

통장 3개를 만들어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분리하는 방식이다.

 

  • 통장 1: 월급 들어오는 주계좌
  • 통장 2: 생활비 계좌 (카드 연결)
  • 통장 3: 절대 안 쓰는 저축 통장

 

돈을 분리해두면 소비 심리가 줄어든다.

심리적으로도 ‘쓸 수 있는 돈만’ 가지고 계산하게 되어 충동 소비를 막기 좋다.

 

 

4. 저소득자에게 더 중요한 ‘심리적 소비’

 

 

소비는 돈보다 감정으로 일어난다

 

서울시에서 청년 50명을 대상으로 소비심리를 조사한 결과,

“기분이 안 좋을 때 쇼핑을 한다”는 응답이 74%에 달했다.

 

이 말은 즉, 감정이 흔들릴 때마다 소비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100만 원대의 적은 월급으로 살아야 한다면,

‘내 감정을 안정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소비가 줄어든다.

 

 

감정을 지출 아닌 방식으로 달래는 법

 

  • 산책, 동네 도서관 이용, SNS 끊기, 일기 쓰기
  • 감정을 기록하고, 나의 소비패턴을 파악하기
  • 유튜브 소비 브이로그 보기보다, 절약 브이로그 보기

 

 

5. 돈 없는 사람들의 소비 패턴을 바꾼 이야기

 

 

실제 사례: 소비 방식으로 삶을 바꾼 사람들

 

 

1. 이모 씨, 27세, 아르바이트 월급 120만 원

 

처음엔 돈이 없어 스트레스만 받았지만,

3개월간 ‘쓰는 돈 일기’를 쓰고 난 후, 매달 20만 원 이상을 저축하게 됐다.

자신이 무슨 이유로 돈을 쓰는지를 알게 되자 감정에 휘둘리지 않게 된 것이다.

 

 

2. 장모 씨, 30세, 계약직 월급 140만 원

 

초기엔 “난 어차피 못 모은다”라고 생각했지만,

월 1만 원이라도 자동이체로 저축하며 ‘나는 모으는 사람’이라는 자존감을 만들었다.

3년 후, 800만 원이 모였고 지금은 투자공부를 하고 있다.

 

 

3. 김모 씨, 24세, 월급 110만 원

 

“친구들과의 소비를 줄이기 어렵다”는 그는

SNS를 끊고, 생활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절약 모임을 찾았다.

공유 부엌, 중고 나눔, 독서모임 등으로 ‘다른 방식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럽게 소비가 줄었다고 한다.

 

 

6. 적은 월급이라도, 삶을 바꿀 수 있다

 

 

중요한 건 ‘금액’이 아니라 ‘방향’

 

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지금은 벌이가 적으니까 그냥 쓰고, 나중에 모으자.”

하지만 실제로 수입이 늘어도 소비도 같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돈이 적을수록, 습관은 더 강력한 힘을 가진다.

 

100만 원을 다 써도 0원이지만,

100만 원에서 10만 원을 저축하면

내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감각이 생긴다.

 

작은 월급이지만, 계획과 습관이 있다면

그것은 분명히 ‘나를 바꾸는 씨앗’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