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조선 시대 얼음 창고, ‘빙고(氷庫)’ 이야기 – 조선 사람들의 똑똑한 여름 나기

🧊 조선 시대 얼음 창고, ‘빙고(氷庫)’ 이야기 – 조선 사람들의 똑똑한 여름 나기

 


“조선 시대에도 여름엔 더웠을까요?”
“그런데 냉장고가 없던 시대엔 어떻게 시원하게 지냈을까요?”

 

이런 궁금증, 여러분도 한 번쯤 가져봤을 거예요.

우리처럼 얼음물도 없고, 아이스크림도 없던 옛날 사람들은 여름을 어떻게 견뎠을까요?

 

그 답은 바로 조선 시대의 ‘빙고(氷庫)’라는 특별한 창고에 있어요.

 


 

❄️ 빙고란 무엇일까요?

 

빙고는 한자로 얼음 ‘빙(氷)’, 창고 ‘고(庫)’라는 뜻이에요.

즉, 얼음을 넣어두는 커다란 창고였어요!

 

하지만 여름에 얼음을 어떻게 보관했을까요? 조선 사람들은 정말 지혜로웠어요.

 

  • 겨울철이 되면 강이 꽁꽁 얼죠?
  • 그 얼음을 도끼나 톱으로 잘라서 네모나게 만들어요.
  • 그리고 그것을 큰 구덩이 속에 차곡차곡 쌓아요.
  • 얼음 사이사이에 볏짚이나 톱밥을 넣어 녹지 않게 만들고,
  • 그 위에 흙과 돌로 단단히 덮고, 지붕까지 씌워요.

 

그렇게 하면 여름이 되어도 얼음이 아주 천천히 녹고,

무려 한여름에도 차가운 얼음을 꺼내 쓸 수 있었어요!

 


 

🏛️ 서울에도 빙고가 있었을까?

 

있었죠! 그것도 아주 유명한 두 곳이 있었어요.

 

  1. 서빙고(西氷庫) – 경복궁의 서쪽, 지금의 용산 지역
  2. 동빙고(東氷庫) – 한강의 동쪽, 지금의 성동구 지역

 

이 두 곳은 궁궐 근처에 있어서 왕실에서 사용하는 얼음을 보관하던 곳이었어요.

지금도 동빙고와 서빙고 유적이 남아 있어서,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답니다.

 

빙고는 단순한 창고가 아니라 국가 시설이었어요.

그만큼 얼음은 매우 중요하고 귀한 물건이었던 거예요.

 


 

👑 누가 얼음을 썼을까요?

 

빙고에 저장된 얼음은 아무나 사용할 수 없었어요.

특히 왕이나 왕비, 궁궐 사람들처럼 높은 신분의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었죠.

 

왜냐하면 얼음은 너무 귀하고, 만들기도 보관하기도 힘들었거든요.

 

그렇다고 꼭 왕만 쓴 건 아니었어요!

 

  • 환자나 병든 사람에게 시원한 물을 제공하거나
  • 여름철 의약품을 보관하는 데 사용하거나
  • 노약자에게 특별히 나눠주는 일도 있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얼음은 단순한 사치품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고 건강을 돌보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 빙고는 어떻게 생겼을까?

 

빙고는 그냥 땅 위에 지어진 창고가 아니에요.

아래처럼 아주 과학적인 구조로 만들어졌답니다.

 

  • 지하로 깊이 파인 구조: 얼음이 햇빛을 덜 받게 해요.
  • 두꺼운 돌 벽과 흙벽: 열을 차단하고 온도를 유지해요.
  • 볏짚과 톱밥: 얼음끼리 붙지 않게 하고 보온을 도와요.
  • 경사진 바닥: 녹은 물이 흘러나갈 수 있게 했어요.

 

이처럼 빙고는 단순한 창고가 아니라,

조선 사람들의 자연과학이 살아 있는 장소였던 거죠!

 


 

🌈 상상해보아요 – 내가 조선 시대에 살았다면?

 

자, 여기서 잠깐!

여러분이 조선 시대에 살았다면, 이 귀한 얼음을 어떻게 쓰고 싶나요?

 

  • 여름에 얼음에 수박을 넣고 먹어보고 싶다?
  • 혹은 손발을 담가서 땀을 식히고 싶다?
  • 아니면 빙고를 직접 설계해 보고 싶다?

 

그럼 여러분의 생각을 그림으로 그려보거나,

‘내가 조선 시대 얼음 창고 관리인이 된다면?’ 같은 상상 글을 써보는 것도 정말 재미있겠죠?

 


 

📚 오늘의 정리

 

  • 조선 시대 사람들은 겨울에 얼음을 저장해 여름에 썼어요.
  • 이 얼음을 보관하던 창고를 빙고(氷庫) 라고 불렀어요.
  • 얼음은 왕실, 의약, 노약자 보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됐어요.
  • 빙고는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조선 시대 과학과 배려의 상징이었어요!

 


 

📎 선생님을 위한 참고자료

 

  • 『조선왕조실록』 세종~영조대 빙고 관리 기록
  • 문화재청 동빙고·서빙고 유적 자료
  • 『조선의 얼음 문화』 (김용만 저, 사계절 출판)
  • 동빙고 복원도 및 현장 사진 출처: 문화유산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