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려 조선시대 공천 제도의 진짜 속사정, 숨겨진 권력의 배후 1. 공천이란 무엇인가요 조선시대에도 ‘줄’ 없이는 못 올라갔다 오늘날 ‘공천’이라 하면 정당이 선거에 나갈 후보를 선정하는 과정이라 이해되지만, 조선이나 고려 시대에는 ‘관직을 추천받거나 임명되는 것’을 뜻했어요. 쉽게 말해 “누가 누구를 밀어주느냐”에 따라 벼슬길이 결정되던 것이죠. 하지만 공정한 시험인 과거제도가 있었던 시절에도 실제 공천은 그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음성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과연 그 실상은 어땠을까요? 2. 고려시대 공천의 실태 시험보다 무서운 ‘문벌 귀족의 장원 대물림’ 고려시대의 공천은 대부분 문벌 귀족의 사적 추천이었어요. 특히 개경의 몇몇 가문은 국왕과의 혼인관계를 통해 ‘내정권’을 행사했습니다. 예를 들어 경원 이 씨 가문은 4대에 걸쳐 재상을 배출하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