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경제

(2)
조선시대에도 위조화폐가? 엽전 위조범과 비밀 제작소의 진실 1. 조선에도 위조화폐가 있었다고? 엽전 하나에 목숨이 왔다 갔다 한 시대 조선시대, 엽전 하나는 요즘의 천 원, 만원이 아니라 생존의 열쇠였다.쌀 한 되가 2~3 전이던 시절, 엽전은 단순한 돈을 넘어 권력과 신뢰의 상징이었고, 그만큼 ‘위조’는 엄청난 죄로 다뤄졌다. 그러나 놀랍게도, 조선의 골목과 장터, 심지어는 관청 가까이에서도 위조화폐가 조용히 퍼지고 있었던 사실, 알고 있었는가? 2. 정조의 눈을 속인 구리 장인 ‘신술공’ 위조의 기술이 예술의 경지에 오르다 정조 시절, 남대문 근처에 ‘신술공’이라 불리던 구리 장인이 있었다. 겉으로는 솥과 주전자를 만들던 평범한 수공업자였지만, 밤이 되면 그는 몰래 위조엽전을 찍는 작업장으로 변신했다. 신술공이 만든 가짜 엽전은 당시 관제 엽전보다도 더..
조선시대 금융경제의 실체, 백성의 주머니를 움직인 숨은 이야기들 1. 국가의 돈줄, 저잣거리의 환전상 양반도 찾은 그들, 전황의 주역 한양 종로 거리에 있는 ‘전주전방’. 이곳은 단순히 화폐를 바꾸는 곳이 아니었다. 이곳 주인은 ‘이선의’라는 상인으로, 원래 전주 출신의 몰락한 양반이었다. 이선의는 어린 시절, 조운선을 따라다니며 전국의 쌀값과 엽전 유통량을 꿰뚫었다고 한다. 그는 곧 조선의 은화가 부족하다는 점을 간파하고, 외국상단과 접촉하여 은을 밀수입하기 시작한다. 그 은은 가짜 엽전으로 다시 바뀌었고, 이를 통해 그는 스스로 ‘한양의 환전왕’이라 불리게 된다. 조정은 이를 눈치챘지만, 그가 왕실 측근들과도 깊은 거래를 하고 있었기에 쉽게 손을 대지 못했다고 한다. 결국 이선의는 한때 조정의 재정난을 도운 ‘비공식 화폐 관리자’가 되었고, 그는 죽기 직전 “돈..

반응형